삶을 거닐다/뜯어보기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터넷 시대, 한국의 성우와 성우팬덤을 말하다 1. 한국에서 성우란? - 대략적 흐름 2. 성우 커뮤니티 분위기 파악 - 메이저 커뮤니티 - 더빙판의 팬들 - 성우의 팬들 - 성우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 3. 성우 붐이 일으킨 팬덤문화 - 캐스팅을 물고 물고 - 성우놀이(더빙놀이) 1. 한국에서 성우란? 강수진 김승준 홍시호 1번 문제, 위 세명을 아시나요? 뭐 포스팅이 포스팅인만큼, 누구나 위의 세 사람이 '성우'라는 점은 쉽게 짐작하셨으리라 싶습니다. 그럼 2번 문제, 위 세 명이 연기한 캐릭터를 각각 세 개씩 말해보세요. 이 문제에 대답하실 수 있는 분이라면, 성우계를 좀 알고 계시는 분이라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과장 좀 섞어서 쉽게 말하자면, '그대는 성우 오덕'이라 부를 수도 있죠 ㅋ 2008년 기준 우리나라에는 약 650명의 성우가 활.. 영화 무방비도시 리뷰 무방비도시를 보고 왔다. 평소 한국 영화는 웬만해선 잘 안 보는 편이라 모처럼 영화 볼 일이 생겼는데도 걍 귀찮다고 안 나가려다가, 무려 주연이 김명민 씨!!!!!!!!!!!!!!!!!! 라는 얘기에 바로 분위기를 바꿔서 [;;;;;;] 보게 되었다. 크악 장군님 !!!!!!!!!!!!!!!!!!!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나로 말할 것 같으면, 불멸의 이순신 방영 당시에 이 김명민이라는 배우한테 홀딱 빠져서는 드라마도 잘 안 보던 인간이 하악거리며 억지로 매주 보려 노력하고, 나중에 하얀 거탑도 억지로 억지로 봐가면서 하악하악거렸던[......] 인간이다. 아니, 그 대작들의 주인공이 이번엔 영화를 찍는다고? 그것도 무려 형사 형사 형사 으학으학 재미있겠다, 아니 분명히 재미있을거야 ㅠㅠㅠㅠ 김명민 씨 연.. 가면 라이더 히비키를 통해 본 문화원형 콘텐츠의 활용 가면 라이더 히비키(2005-2006) 실사판 세일러문에서 턱시도 가면 역을 맡았던 시부에 죠지와, 세일러문 뮤지컬에서 3대 세일러문 역을 맡았던 칸베 미유키가 나온다는 말만 듣고 무턱대고 CD를 통째로 빌려와서 보기 시작한 액션 히어로물이다. 이번 학기 시작되자마자 시간날때마다 하나씩 보기 시작했는데, 그동안 어찌나 바빴는지 아직 총 49편의 반도 못 왔다. 어쩌면 이거 다 못보고 일본 가야 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그런데 이거 정말 신기한 드라마다. '가면 라이더'인걸 봐서는 아동 대상 액션물임이 분명한데, 히어로들이 싸우는 무기나 주요 소재는 기존 '가면 라이더' 시리즈와 노선을 완전히 달리하고 있다. 이 작품의 히어로들은 보통 히어로들처럼 격투나 칼이나 총 내지는 마법으로 싸우는 것.. 영화 식객 리뷰 11월, 밤 늦게 추워죽겠는데 갈데가 없어서 선택한 곳이 영화관이었다. 마침 이 영화가 국산 만화의 영화화라는 의미에서 문화콘텐츠 쪽에서도 화제가 되고 있어서, 한번쯤 봐두면 좋겠다는 생각에 좀처럼 영화관을 찾지 않는 내가 보게 되었다. 참 아쉬운 건 내가 허영만 씨의 원작 만화를 보지 않아서, 이 두 매체의 비교 자체가 불가능했달까. 그래도, 만화책을 좀처럼 보지 않는 내가 유일하게 본 요리 만화라는게 '미스터 초밥왕'이라 그저 '요리'를 표현하는 방법 정도만을 겨우 비교해가며 볼 수 있었다. 원체 TV도 안 보고, 연예계에도 딱히 관심이 없으니, 주연으로 나온 삼인방은 거의 모른다고 해야 할 수준의 배우들이었으나, 다들 연기는 굉장했던 것 같다. 게다가 원작 캐릭터하고도 무척 매치가 잘 되었던 듯 하.. 책 [선거제도와 정치적 상상력] 리뷰 시간은 어김없이 흐르고 대한민국은 어느새 5월 31일의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다. 전국 각지의 후보 사무실건물마다 대형 플래카드가 내걸리고 텔레비전 등 언론매체에서도 서울시장 후보들의 행로를 취재하는 등 '선거철'에 들어가고 있는 마당에 이 [선거제도와 정치적 상상력]이라는 책을 읽게 된 것은 참으로 시기적절한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첫머리에서, 선거제도의 개혁을 이야기하면서도 기껏해야 비례대표 의석을 몇 석 증감한다거나 소선거구냐 중선거구냐 하는 정도의 논의에 그치고 마는 한국 정치의 현실을, 우리나라 정치 및 정치가들의 정치적 상상력이 빈곤하기 때문이라 진단한다. 이어서 세계에서 시행되었거나 또는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선거제도들을 소개함으로써 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한국 정치에 대한 더 넓은.. 이전 1 2 다음